계량경제학 강의 4-1(한치록)
Updated:
Intro
- 표본추출을 반복하여 시행하고 표본 추출 시마다 추정값을 계산하는 걸 상상해보자
- 매번 추정값이 바뀌고 이 추정값들은 하나의 분포를 이룰 것이다
-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앞 장까지는 자료로부터 추정값을 구하는 법을 이야기했고, 추정값과 모수(모집단 파라미터)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았다
4.1 표본을 반복하여 추출한다면?
- 결국은 모집단 파라미터가 우리의 궁긍적 목표이지 표본으로부터 구한 추정값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.
4.2 표본추출 반복시행 시 추정값들의 분포
- 각기 다른 표본에 대해 추정값을 계산하면 표본 추출시마다 상이한 추정값을 얻을 것이다.
- 그리고 이들을 모으면 하나의 분포가 형성된다.
- 이렇게 표본 추출을 무한히 반복하여 얻은 추정값들의 분포를 ‘표본추출 반복시행 시 분포’, ‘표집분포(sample distribution)’, 또는 ‘분포’라고 한다.
- 이 분포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은, 숫자 계산이 아니라 사고의 영역에 속한다. why? 무한 표본추출은 실제로는 불가능하고 사고의 영역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이다. (생각의 전개)